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는 데이터자격 3대장이 존재한다.
SQLD/SQLP : SQL 개발자/전문가
ADSP/ADP : 데이터분삭 준전문가/전문가
DASP/DAP :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전문가
전문가 자격의 취득은 상당히 깊은지식을 요구한다고하여 일단 준전문가를 전부 취득하기로 하였다.
그중 DASP자격은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인데, 데이터 설계관점의 자격이다.
공부는 위 책으로했다. 사실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가이드라는 5만원짜리 책을 사서 정석적으로 파고들면서 공부해도 되겠지만, 문제집을풀면서 필요한지식들을 인터넷으로 찾아 공부하는것이 더 스타일이 맞기에 책은 문제집만 구매하였다.
문제집이 아쉬운점은 해설지가 친절하지는 않다. 따라서 개념을 한번 마스터하고 보는사람은 별 문제없겠지만 개념을 보지도않고 문제집만 보는 사람들은 당황스러울 수 있다. 문제마다 개념을 따로 찾아본다고 생각하는것이 좋다.
실제 시험에서, 실전문제집의 문제가 몇몇개 나왔다. 애초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내놓은 정석적인 책이니 시험전에 무조건 풀어보고 가는것이 좋다.
데이터 설계관련 많은지식들을 공유해주신 여러 블로거분들 덕분에 이해가안되는부분들을 많이 익힐 수 있었고, 개념정리도 쉽게 할 수 있었다. (모두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 아래 블로그를 많이 참고했던 기억이 난다.
https://programmingyoon.tistory.com/category/%EC%9E%90%EA%B2%A9%EC%A6%9D/DAsP
'자격증/DAsP' 카테고리의 글 목록
올바른 행동을 하면 올바른 사람이, 절도 있는 행동을 하면 절도 있는 사람이, 용감한 행동을 하면 용감한 사람이 된다.
programmingyoon.tistory.com
공부는 1주일 아래로 했다. 사실 몇몇과목의 내용들이 실제 업무들과 겹쳤다. 데이터 표준화관련부분은 특히 업무하면서 부딪힐일이 많다보니 공짜로 먹은것같다.
개념을 찾아볼때, 정리되어있는 블로거 분들의 스타일대로 정말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다. 그 중 마음에드는 블로거의 정리내용을 보고, 이해가 되지않는다면 다른블로거의 시선으로 정리되어있는 내용을 또 찾아봤다. 여러사람들의 시선으로 한 개념을 찾다보면 더 이해가 잘되는것같다.
- 현업에서 데이터관련 업무를 담당하고있다면 단기간에 취득이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 업무는 아니지만 데이터관련 전공과목을 공부했다면, 1~2주 정도의 시간을 가지면 될것으로 보인다.
- 비전공자라면 시간을 여유롭게 투자해야한다. 블로그 글들을 대충 훑어본다면, 대체 뭔말인지 싶을것이다.
'# 생각저장소 > 자격증 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권유자문인력 교재, 인강 확인하고 자격증 준비하기 (0) | 2023.01.03 |
---|---|
KBI 금융DT 테스트 6회 합격후기 (Blue등급) (1) | 202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