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립토/크립토 정보

Biport(바이포트) 지갑 생성부터 Bifi(바이파이) 의 예금과 대출까지

커피중독자 2022. 3. 16. 02:58

 

바이프로스트(BFC) 기반으로 만들어진 바이파이(Bifi) 라는 재미있는 Dapp 이 있다. 파이랩테크놀로지가 개발한 Dapp 으로, 다양한 체인을 지원하는 멀티체인 디파이 Dapp이다.

( 현재 기준으로 이더리움, 바이낸스스마트체인, 아발란체, 클레이튼을 지원한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파이랩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바이포트라는 멀티체인 지갑을 이용해서 바이파이 Dapp에 예금부터 대출을 하는과정을 포스팅해보고자 한다. 

 

 

1. 바이포트(Biport) 지갑 설치

바이포트는 파이랩에서 개발한 멀티체인 월렛이다. 여권(passport) 에서 이름을 따오지 않았나 싶다. 다양한 나라로 여행을 가기위한 준비물이 여권인것처럼, 다양한 체인으로 가는 지갑(Biport) 의 느낌이다.

 

Biport 를 먼저 설치해주어야하는데, 아래 링크에서 'Add to Chrome' 을 클릭하여 사용중인 크롬에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해준다.

 

https://biport.io/

 

 

Biport Wallet - One Wallet, All Chains

Biport Wallet - One Wallet, All Chains

biport.io

 

 

 

설치후 새로운 지갑을 만드는 과정을 진행한다.

(기존에 갖고있던 지갑이 있다면, 시드구문을 이용하여 '기존 지갑 가져오기' 를 진행하면 된다.)

 

앱을 사용할때 이용할 비밀번호를 정해주고, 나중에 지갑을 복원할 수 있는 시드구문을 확인한다.

시드구문은 나중에 지갑을 잃어버리거나 다른 기기에서 사용할때 지갑을 되살릴 수 있는 키로, 안전한곳에 저장해두어야 한다.

 

'MetaMask 지원' 의 경우, 크롬에 MetaMask 가 깔려있을경우 Biport 와 충돌을 할 수 있기때문에 있는 설정이다. 해당 설정을 ON 하게 되면 지갑연결이 필요한상황에 Biport 연결에대한 팝업창이 뜨게된다.

 

위의 과정을 마쳤다면 아래처럼 지갑생성이 끝났다. Biport 앱을 열어보면 아래처럼 다양한 토큰의 목록이 나오고 해당 토큰 아래에는 각 토큰의 메인넷이 표시되어있다.

 

이제 원하는 메인넷의 토큰을 Biport지갑에 넣고, 보기쉽게 관리할 수 있게되었다 !

 

 

 

 

 

2. 바이포트(Biport) 지갑으로 클레이튼 토큰 보내기

 

바이파이(Bifi) 앱에서 사용할 토큰을 바이포트(Biport) 로 보낼 차례이다. 다양한 토큰을 보낼 수 있겠지만, 해당 포스팅은 클레이튼을 이용한 방법을 소개하기에 클레이튼을 보내볼 것이다. 

 

 

바이포트 지갑에서 입금주소를 확인하려면, 위처럼 '수신 주소' 버튼을 눌러 토큰리스트를 확인하고 ,이 중 원하는 토큰을 클릭하여 주소를 확인하면 된다.

 

클레이튼을 바이포트(Biport) 지갑으로 보내는방법은 다양하다. 클레이튼 메인넷출금을 지원하는 거래소에서 바이포트 지갑의 클레이튼 주소로 보내주면 되는데, 업비트 사용기준으로 이야기하면 아래와 방식으로 보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방식이다.)

 

업비트 -> 바이낸스 -> 바이포트 

 

표시된 수신주소로 클레이튼을 보냈다면, 아래처럼 클레이튼 잔액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바이파이(Bifi) 에 예금하기

 

이제 연결된 지갑을 갖고 바이파이(Dapp) 로 들어간다. 

 

https://app.bifi.finance/

 

BiFi - Multichain DeFi Platform

The multichain DeFi platform powered by the Bifrost, BiFi operates directly on blockchain networks like Bitcoin, thereby expanding the DeFi ecosystem currently limited to Ethereum. Save, borrow, and invest all your cryptocurrencies.

app.bifi.finance

 

 

아래는 바이파이(Bifi) 메인페이지이다. 개인적으로는 페이지에 글자가 너무많다보니 가독성이 좋지 않았었던것이 아쉬웠다. 하지만 서비스를 이해하면 매우 쉬운 서비스이니 차례차례 살펴보면 된다. 

 

 

먼저 확인해야할 사항은 우측상단에 표시된 네트워크와 지갑주소이다. 본인이 사용하려는 네트워크와 지갑주소가 맞아야한다.

 

지갑이 올바르게 연결되어있다면, Dapp에 내 지갑에 있는 잔액만큼 '예금 가능액' 이 채워져 있을 것이다. 예금버튼을 클릭하게되면 예금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한가지 체크할것은 예금을하면 이율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위는 바이파이 서비스에 클레이튼을 예금할경우 받을 수 있는 보상이다. 클레이튼 기준으로, 1년을 예치했을때 아래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클레이튼 : 4.18%

- 바이파이 : 2.64%

 

결국 클레이튼을 예치하면서 6.82%의 이자를 챙길 수 있다. 

 

 

위의 이자는 예치한 금액에 따라 달라진다. '예금' 버튼을 누르게되면 지갑에있는 잔액을 기준으로 얼마만큼 예금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영역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자면

 

- 100 KLAY 를 예금한다면, 연이율 4.18% 를 받을 수 있다.

- 100 KLAY 를 담보로 75%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 100 KLAY 가 약 $107.93 이므로, 너는 이 예금으로 인해 약 $80 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가 된다. 

 

 

예금을하고나면 예금한만큼 메인페이지의 표시가 달라진다.

자신이 대출을 받을생각이 없고 연이율 보상만 얻고싶다면 여기까지 멈추고 연이율을 챙기면 된다. 

 

4. 바이파이(Bifi) 에서 대출받기

 

 

예금을 하고나면, 우측의 대출영역에서 '대출 가능액' 부분의 수치가 변화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위에서 100KLAY를 예치함으로써 담보율 75%에 따라 약 $80 의 대출이 가능했었는데 해당 수치만큼 받을수 있다는 내용이 표시된것이다.

 

그리고 대출은 클레이튼 뿐만 아니라 이더리움, 비트코인, 리플, DAI 까지 모두 가능하다.

 

 

대출에도 이자가 존재한다. 은행과 마찬가지로 대출금에대한 이자를 내야하는데, 클레이튼 기준으로 이자는 아래와 같다

- 클레이튼 : - 8.98%

- 바이파이 : + 2.64%

 

특이한점은, 클레이튼 자체에서 빼가는 이자가 존재하지만, 오히려 대출받은사람에게 Bifi 를 준다.

합치게 되면 결국 내야하는 이자는 -6.34% 이다. 

 

 

대출 버튼을 클릭하게되면, 위처럼 팝업창이 뜨고 원하는 대출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영역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자면

 

- 50 KLAY 를 예금한다면, 내야할 KLAY 이자는 8.98% 이다.

- 대출한도는 너가 받는 $53 만큼 줄어드므로, 이제 약 $26 에 해당하는 대출만 받을 수 있다.

- 해당 대출로 너는 한도의 약 66%를 사용하였다.

 

가 된다.

 

 

 

 

50 KLAY의 대출을 받고나면 위의 화면처럼 표시되게 된다.

( kUSDT 표시는 무시하시면됩니다. 대출후 상환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소수점 kUSDT가 전체상환이 되지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관계자분 보시면 나중에 해결부탁드립니다 ;;)

 

대출을 받고나니 내가 예치한 금액과 예금액에대한 이자, 대출받은 금액과 대출금액대한 이자가 한눈에 표시된다.

 

 

6. BiFi 리워드 수령

 

예금과 대출에 대하여 이자는 해당 예금액/대출액에서 정리가 되겠지만, BiFi 이자에 대한 리워드를 별도탭이 존재한다. 상단에 있는 'Rewards' 탭으로 가게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이동하게된다. 여기서

 

'BiFi 수령하기' 를 눌러주면 된다. 

 

 

BiFi 는 현재 Gate.io, Uniswap 등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수령한 BiFi 는 홀드하며 투자관점으로 갖고있어도 되고, 거래소에 판매하여 이자에대한 수익실현을 해도 된다. 

 

 

 

7. 끝으로

 

BiFi 서비스가 재미있게 와닿은건, 은행의 예금담보대출 상품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사실 거의 같다고 봐야...)

 

고객이 평소에 은행에 맡기는 돈 중, 저축성으로 맡기게되는 예금이나 적금에 대하여 이를 깨지않고 돈이 필요할때 예금담보대출을 받게된다 .

 

은행의 입장에서는 담보율을 정하여 예금액의 특정% 만을 대출해주며, 이에 대한 이자를 고객에게 청구한다.

 

대출의 이율이 예금의 이율보다 높고, 대출의 담보가 신용이라면 은행입장에서 못받을 가능성의 리스크를 가져야하지만, 대출의 담보가 예금이라면 못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기때문에 안전하다. 따라서 은행에게 좋고 고객입장에서도 급한돈을 빠른절차로 대출받을 수 있으므로 좋다.

 

이런 좋은모델을 Dapp 으로 만들었다는건 정말 재미있는 시도인듯 하다. 

 

바이프로스트(BFC) 와 바이파이(BiFi) 는 다양한 시도를 하는 재미있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한다. 올해에 BFC 기만 P2E 게임도 출시 예정이라고하니 더 기대가 된다.

 

앞으로 한국에서 이런 재미있는 프로젝트가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 

 

 

 

바이파이 웹사이트 : https://app.bifi.finance/

바이파이 백서 : https://docs.bifi.finance/guide-ko

바이파이 트위터 : https://twitter.com/BiFi_lending

바이파이 미디움 : https://bifi-lending.medium.com/

 

 

--

바이낸스(Binance) 거래소 가입 링크 : https://bit.ly/3t9rKXL

MEXC 거래소 가입 링크 : https://bit.ly/3t9Os22